2025년 장기요양급여 인상으로 달라지는 가족휴가제도
요양정보 | 2025.03.20
어르신을 돌보는 가족들에게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는 꼭 필요한 지원책이에요. 어르신도, 돌보는 가족도 충분한 쉼이 필요하니까요.
특히 2025년부터 장기요양급여가 오르면서 가족휴가제도에도 변화가 생겼어요. 이번 변화로 달라진 급여 내용과 가족휴가제도 변경 사항, 신청 방법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2025 장기요양급여 인상 주요 내용은?

2025년부터 장기요양 서비스의 급여가 인상되었어요.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요양보호사의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함으로, 수급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화라고 해요.
이번 급여 인상은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모두에 적용되어, 요양 서비스의 비용이 증가하게 되죠.
[2025년 장기요양 급여 조정 내용]
평균 3.93% 인상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배치 기준 조정 (2.3:1 → 2.1:1)
단기보호, 방문요양 등 서비스별 급여 조정(평균 3.93%)
평균 | 요양시설 | 공동생활가정 | 주야간보호 | 단기보호 | 방문요양 | 방문목욕 | 방문간호 |
3.93 | 7.37 | 2.07 | 2.12 | 2.08 | 1.89 | 2.14 | 2.34 |
출처 :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란?

가족휴가제도는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어르신을 돌보는 가족이 잠시 쉬면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돕는 제도예요.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를 이용하면 단기보호나 종일 방문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죠. 가족들이 잠시라도 쉴 수 있는 중요한 제도랍니다.
[가족휴가제도 이용 가능 서비스]
서비스 종류 | 내용 |
단기보호 서비스 | 일정 기간 동안 요양시설에서 어르신을 보호해 주는 서비스 |
종일 방문요양 서비스 | 요양보호사가 하루 종일 방문하여 어르신을 돌보아주는 서비스 |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의 변경 사항 및 주요 변화는?

2024년 7월까지 치매대상자였던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는 중증재가수급자까지 확대 개편되었어요.
2025년에도 아래와 같이 내용이 변경되었으니 확인해 보시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셨으면 좋겠어요.
[2025년 가족휴가제도 변화]
단기보호 기간 '10일 →11일’로 확대
종일 방문요양(12시간), '20회 →22회’로 확대
[2025년 변경된 장기요양급여 적용 후 본인부담금]
2024년 대비, 2025년엔 장기요양급여 중 단기보호는 2.08% 인상하였고, 방문요양은 1.89%가 인상되었어요. 가족휴가제도를 변경된 급여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아요.
[단기보호 1일 급여비용]
등급 | 2024년 급여 | 2024년 본인부담금 | 2025년 급여 | 2025년 본인부담금 |
1등급 | 70,500원 | 10,575원 | 71,970원 | 10,796원 |
2등급 | 65,280원 | 9,792원 | 66,640원 | 9,996원 |
3등급 | 60,310원 | 9,047원 | 61,560원 | 9,234원 |
4등급 | 58,720원 | 8,808원 | 59,940원 | 8,991원 |
5등급 | 57,110원 | 8,567원 | 58,300원 | 8,745원 |
[종일방문요양 급여비용]
종일 방문요양은 등급에 상관없이 1회 12시간 기준이고, 1회 이용시 12시간이 필수예요.
2024년 급여 | 2024년 본인부담금 | 2025년 급여 | 2025년 본인부담금 |
94,180원 | 14,120원 | 95,960원 | 14,390원 |
* 출처 : 보건복지부, 복지법률신문
본인부담금은 소득기준에 따라 0~15% 차이가 있어요. 기초생활수급자라면 본인부담금 0%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어요.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 신청 방법은?

이 제도를 이용하려면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기관을 검색하고 상담을 통해 예약할 수 있어요.
[신청 대상]
- 모든 1등급~2등급
- 치매가 있는 3등급~인지지원등급
장기요양등급을 판정받은 1~2등급 또는 치매가 있는 3등급~인지활동지원 등급인 어르신이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도를 이용할 수 있어요.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신청 기관]
- 단기보호기관(주야간보호 내 단기보호 시범사업기관포함)
- 방문요양+방문간호, 방문요양+주야간보호,방문요양+단기보호를 포함한 복합 방문요양기관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신청 기관 찾는 방법]
① 국민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접속하기
https://www.longtermcare.or.kr/npbs/indexr.jsp
② '장기요양기관 찾기' 버튼 클릭하기

③ ‘지역’선택 >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급여 제공기관’ 선택 > 검색 누르기

장기요양등급을 받고, L로 시작하는 인정등급이 있는 어르신이라면,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기관을 검색하고 요양기관의 상담을 통해 일정을 정할 수 있어요.
만약, 장기요양등급이 없는 어르신이라면, 시니어톡톡의 장기요양등급 예상 테스트를 한 후, 대리 신청을 통해 등급을 부여받고, 국가에서 지원해 주는 연 160만 원의 지원금도 받을 수 있으니 시니어톡톡을 통해 장기요양등급 신청을 해보세요.
